• 특집
  • 찍힌 공범 관계-조상 카즈미가 본 시부야와 요지야마모토의 현재지

찍힌 공범 관계-조상 카즈미가 본 시부야와 요지야마모토의 현재지

  • LINE
찍힌 공범 관계-조상 카즈미가 본 시부야와 요지야마모토의 현재지
찍힌 공범 관계-조상 카즈미가 본 시부야와 요지야마모토의 현재지
Photo
Kazumi Kurigami
Text
Hirofumi Kurino
Director
Sato Takayoshi (OGYA inc)
Stylist
Keisuke Baba
Model
YACO, Jun Niioka(BARK IN STYLE)

일찍이 사진은 진실을 말하는 도구로 자리매김되어 한순간의 미나 찰나의 에모션을 정착시키는 것…정말 믿어졌다.하지만 정말 그럴까?사진은 결과이며, 그 전후는 관자가 상상할 수 밖에 없다.사진은 공평하지도 해방적이지도 않다.때로는 대상물을 특수화하거나 극단적으로 한정시키기도 한다.초기 초상사진이 기록한 왕후 귀족이나 부유층의 모습은 사진이라는 근대장치에 의한 ‘왕권신수설’ 증명처럼 보인다.
즉 사진은 특권화의 도구로서도 기능해 온 것이다.찍히는 사람은 특별했다고 할 수 있다.패션은 어느 시기까지 그 문맥상에 있었다.
사진작가가 직업이 되어 사진이 발표되는 ‘장’이 구축되어 확대되고 예술의 한 장르가 되는 한편, 사진기 자체가 입수하기 쉬워져, 어떤 의미에서 사진의 민주화가 진행되었다.현재로 눈을 돌리면 스마트폰의 발달과 보급에 따라 ‘찍는’ 것은 당연한 행위가 됐다.셀카나 인스타그램, 투고, 소셜 미디어 보급은 사진의 존재 방식을 바꾸고 있다.지금은 누구나 찍는 사람이고, 찍히는 사람, 있다.발표의 장소로서 오랫동안 특권성을 유지해 온 잡지 등의 존재 이상으로, 이제 전 세계의 사람이 자기 미디어화한 것이다.

그럼 사진가라는 직업은 어떨까?전술한 로직만으로 말해버리면 ‘누구나 사진가’ 시대에 종래적인 사진작가는 있을 곳이 없을 텐데.
그래서 특정 누군가의 사진’이 돋보인다.그것은 어떤 의미 선구자 이익적인 것일지도 모르지만…。
사람이 사람을 찍는다.사진가와 피사체와의 관계성은 공범적일 것이다.‘사진기=총’이라는 논은 수잔 손태그에 의해 알려져 있지만 거기에 있는 일방성(Shooting)에서 나오는 비판이나 문제의식과는 별도로, 찍는 쪽에도 찍히는 쪽에도 존재하는 어떤 종류의 ‘사랑’에 대해 언급한 사진가가 조상 카즈미(쿠리가미 카즈미)이다
현재 89세의 사진작가는 아직도 정력적으로 경이적으로 촬영을 한다.
무리하게라도 한마디로 조상을 나타내라고 하면 나는 ‘자의식’이라는 키이워드를 들고 싶다.조상이 찍어 온 방대한 작품들 중에서도 사람은 그의 초상 사진에 끌린다.어떤 대담 속에서 조상으로는 ‘나를 이해하면 곤란하다’는 말을 했다.혹은, 제약이나 요구가 많은 광고의 일을 다루는 가운데 ‘나에게 고액의 개런티를 지불하고 있으니까, 나의 자유롭게 하자’라고 말했다고도순간 거꾸로?이런 발언은 그래도 여전히 조상에 의뢰가 중단되지 않거나 의뢰자 자신의 장애물을 올려서라도 일을 발주해 오는 그 배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조상 카즈미에게만 찍을 수 있는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면 맡겨야 마땅하다.
그 조상 카즈미와 많은 일을 해 온 것이 기타노 다케다.기타노도 나에게는 강렬한 자의식의 한 사람.그리고 기타노가 영화 의상으로서도 개인적으로도 입어 온 것이 요지야마모토의 후쿠다
언뜻 보면, 조용히 보이지만, 그 바닥에 가시할 수 없을 정도의 농후한 어두움을 담은 요우지 야마모토의 후쿠는 착수에 의해, 단순한 복을 넘는다
그리고 조상 카즈미는 2자가 일으킨 결과를 일종의 마법으로 바꾼다.
그 마법은 상업 시설 안에 게시되어 관자 즉 방문자에 의해 감지된다.내관자는 관에 늘어놓은 후쿠에 매료되어 손님이 된다.손님은 단순히 구입해서 물건을 소유했다는 거래 관계를 넘어갈지도 모른다.
목격되어야 할 것인가, 이렇게 공범 관계의 키이 되어 간다.

사람이 거리를 만들고, 거리가 사람을 만들고, 사람이 복을 두르고, 사진가는 그것을 의사를 가지고 화상에 찍는다.촬영된 것은 관에서 공개되며, 그것을 사람이 본다.결국 거리에는 의사를 가진 관이 필요하다.
그리고 나는 이 거리와 관에서 자랐다.

Once, photography was positioned as a tool for speaking the truth, believed to preserve fleeting beauty or momentary emotion. But is that really the case? A photograph is a result, and what comes before or after it is left to the imagination—or misunderstanding—of the viewer. Photography is neither fair nor liberating. At times, it can exaggerate or severely limit its subject. Early portrait photography of royalty and the wealthy looks, in hindsight, like a photographic endorsement of the "divine right of kings."
In other words, photography has also functioned as a tool of privilege. To be photographed was to be special. And for a certain period, fashion operated within this framework.
As photography became a profession, and as platforms for exhibiting photos were established and expanded, the medium entered the realm of art. At the same time, cameras became more accessible, and photography was, in a sense, democratized. In the present day, thanks to the rise and spread of smartphones, taking photos has become a given. Selfies, Instagram, online posts, and social media are transforming the nature of photography. Today, everyone is both a photographer and a subject. The world's people have now become self-publishing media in their own right, surpassing even traditional magazines that long held the privilege of publication.

So what, then, of the professional photographer?
If we follow the logic above, there should be no place for conventional photographers in this age where "everyone is a photographer."
And yet, this is exactly why the work of certain individuals stands out. It may be a kind of first-mover advantage, but...
People photograph people. The relationship between photographer and subject can also be one of complicity. Susan Sontag is known for comparing cameras to guns, but beyond the criticisms and questions of asymmetry implied in "shooting," photographer Kazumi Kurigami has spoken about a kind of "love" that exists on both sides of the lens.
At 89 years old, he still shoots with astonishing energy and vigor.
If I were forced to describe Kurigami in one word, it would be "self-awareness." Among his vast body of work, it is his portraits that continue to captivate. In one interview, he remarked, "It would be a problem if people understood me."
In his advertising work—full of restrictions and demands—he is also known to have said, "You’re paying me a lot, so let me do it my way."
At first, it seems contradictory. But the steady stream of requests, and clients willing to raise their own standards to work with him, speaks to the context behind those words.
If the expectation is for results only Kazumi Kurigami can deliver, then it makes sense to leave it to him.
Takeshi Kitano is one such frequent collaborator. To me, Kitano is also a person with an intense self-awareness. And the clothes Kitano wears—both on screen and personally—are Yohji Yamamoto's.
Yohji Yamamoto's garments may seem quiet at first glance, but beneath the surface lies a rich, deep darkness, invisible to the eye. Through the wearer, the clothing becomes something more.
Kazumi Kurigami turns the result of that union into a kind of magic.
This magic is displayed inside a commercial space and sensed by the viewers—visitors to the site. Drawn by the garments on display, they become customers.
Perhaps this experience transcends the simple transactions of purchase and ownership.
Something which deserves to be witnessed thus becomes the key to a complicit relationship.

People build cities, cities shape people, people wear clothing, and photographers capture this with intention. The captured image is then exhibited in a venue, and people view it.
In the end, a city needs a venue with purpose.
And I have been raised by this city and its venue.

브랜드명
Y’s
플로어
3F
공식 브랜드 사이트
https://www.yohjiyamamoto.co.jp/ys/
전화 번호
Y’s Information desk
03-5463-1503 (4/24까지)
브랜드명
Y’s for men
플로어
3F
공식 브랜드 사이트
https://www.yohjiyamamoto.co.jp/ys-for-men/
전화 번호
Y’s Information desk
03-5463-1503 (4/24까지)
브랜드명
discord Yohji Yamamoto
플로어
1F
공식 브랜드 사이트
https://www.yohjiyamamoto.co.jp/discord/
전화 번호
03-6416-5418
브랜드명
LIMI feu
플로어
3F
공식 브랜드 사이트
https://www.yohjiyamamoto.co.jp/limifeu/
전화 번호
Y’s Information desk
03-5463-1503 (4/24까지)
브랜드명
Ground Y
플로어
2F
공식 브랜드 사이트
https://www.yohjiyamamoto.co.jp/groundy/
전화 번호
03-6427-8984
브랜드명
S’YTE
플로어
1F
공식 브랜드 사이트
https://www.yohjiyamamoto.co.jp/syte/
전화 번호
03-6779-9200

조상 카즈미 (Kazumi Kurigami)

1936년 홋카이도 후라노 출생.

주된 사진집에
『ALTERNATES』『영하는 사람』 『양과 뼈』 『KAZUMI KURIGAMI PHOTOGRAPHS-CRUSH』
『POSSSION 슈토 야스유키』 『NORTHERN』 『Diary 1970-2005』 『양과 뼈II』 『PORTRAIT』 『SELF PORTRAIT』『DEDICATED』『April』
『50,50 FIFTY GENTLEMEN OF EYEVAN』 

주된 개인전에
“KAZUMI KURIGAMI PHOTOGRAPHS-CRUSH”
「조상 와미시의 포 트레이트 노스탤직한 존재가 된 시간(도쿄도 사진미술관)
「PORTRAIT」(Gallery 916)
Lonesome Day Blues (캐논 갤러리 S)
「April」(takaishii gallery)
Kurigami88 (다이칸야마 힐사이드 테라스 힐사이드 포럼)

2008년 영화 《젤라틴 실버 LOVE》 감독 작품.

구리노 히로후미(Hiropumi Kurino)

1953년에 태어났다.대학에서는 미학을 배우고, 졸업 후에는 패션 소매업으로.
수즈야, 빔스를 거쳐 1989년에 유나이티드 애로즈를 창업.2008년까지 회사, 상무이사.그 사이, 판매, 매니지먼트, 프레스, 디렉터를 경험해, 최종적으로는 CCO(치프크리에이티브 오피서)
2008년 임원 퇴임 후에는 상급 고문.
2014년부터 LVMH 프라이즈 심사위원.올해도 계속되고 있다.
'모드 후의 세계'를 2020년에 아즈사.대만 한국에서도 출판되고 있다.

2 / 2
다음 페이지
  • LINE